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야간근로수당 계산방법

■ 야간근로수당 계산방법


야간근로수당은 야간에 근무하시는 환경에 계시는 분들이 꼭 알고 계셔야 하는 개념입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심야근무 등 야간에 업무를 하는 상황에 닥치거나 또는 업무환경 자체가 야간이신 분들이 있으실 것입니다. 그래서 야간근로수당 계산방법을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필수적으로 2021 최저임금도 같이 알고 계시면 좋습니다.


이러한 야간근로는 밤10시(22시)부터 다음날인 오전 6시까지의 근로를 의미합니다. 오늘은 야간근로수당의 계산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야간근로수당


야간에 근로하는 경우는 주간에 근무하는 것에 비해 사람의 신체리듬상 당연히 더욱 피곤하고 힘든 것이 사실입니다. 따라서 18세 미만자의 경우나 임신 중인 여성의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야간근로가 금지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업무 특성에 따라 고용노동부 장관의 인가를 받고 여성 근로자 본인의 동의를 받으면 가능은 합니다.

이러한 야간근로수당은 통상임금의 50%를 추가해서 지급해야 합니다.



■ 5인미만 사업장 야간근로수당

그런데 모든 사업장에서 다 가산수당을 계산하여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상시근로자가 5인 미만인 사업장에서는 야간근로를 하더라도 가산임금을 받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본인의 사업장의 상시근로자 수가 몇 명인지 제대로 체크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야간근로수당 계산방법

야간근로수당 계산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야간 근무 시간을 잘 체크해야 야간 근로 수당이 정확히 계산가능합니다.

'A라는 아르바이트생이 밤 10시부터 새벽 2시까지 편의점에서 근로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1) 1일 야간근로 임금 = 근로계약서상 약정된 시급 9,000원  X 4시간 =  

36,000원


2) 1일 야간근로시간 =  4시간( 22시부터 02시까지)


3) 1일 야간 근로수당(가산임금) = 근로계약서상 약정된 시급 9,000원 X 50% X 4시간  =  18,000원


∴ 야간근로수당 합계 = 36,000원 + 18,000원 = 54,000원


추가적으로 연장근로수당과 야간근로수당이 중복되는 경우 어떻게 야간 수당이 계산되는지 다음 글에서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야간근로수당 계산방법을 공유해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었나요? 추가적으로 필요하신 정보가 있다면 상단의 글들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글이 유익하셨다면 하트(공감), 댓글, 구독을 해주시면 저에게 힘이 됩니다.



■ 추가적으로 읽으시면 도움되는 글



- 일용직,알바,아르바이트생 주휴수당 완벽정리